Dev/Linux

CIDR 표기법

MASANG 2022. 12. 22. 15:05

Classless Inter-Domain Routing
'CIDR', 사이더는 IP 주소를 할당하고 패킷을 라우팅하는 방식 중 하나이다.

1993년 이전에는 IP 주소를 할당하는 방식으로 클래스 기반 방식을 사용하였지만, 사용되는 호스트의 수가 늘어남에 따라 할당 가능한 IP 주소의 수가 고갈되는 것과 라우팅 테이블의 크기가 커지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IETF에서 1993년부터 도입한 표준 IP 주소 할당 방식이다. CIDR는 고갈되는 IP 주소를 기존의 클래스 기반 IP 주소 할당 방식보다 더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IDR 도입 이후 이전의 클래스 기반 방식은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클래스 없는 도메인 간 라우팅 기법이라고도 불린다.

 

펌 : https://namu.wiki/w/CIDR

 

CIDR - 나무위키

CIDR는 네 부분 중 사이에 점(.)으로 구분된 십진수 IP 주소, 슬래시('/') 문자, 0부터 32까지의 숫자로 구성되어 있다. A부터 D까지는 IPv4 주소와 동일하게 8비트씩 끊어 0부터 255까지인 10진수 숫자이

namu.wiki

 

'Dev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Software 정리  (0) 2023.03.26
[Linux] 파일시스템 DISK (HDD, SSD) 확인방법  (0) 2023.0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