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는 유닉스 계역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오픈소스로 모든 것들을 파일로 관리한다.
리눅스는 트리구조를 가지고 있고 용도에 따라 구분되며 이를 파일시스템이라 한다.
ROOT 디렉토리 구조 및 설명
루트 디렉토리는 / 로 표시한다.
위치 | 설명 |
/ | 최상위 디렉토리 , 절대경로를 표기할 때 루트 디렉토리 부터 시작 |
/bin, /sbin | 바이너리 파일로 컴파일된 실행 파일들을 포함하고 기본적인 명령어가 저장 된 디렉토리 |
/boot | 부팅에 필요한 파일들을 포함 |
/dev | 디바이스와 관련된 파일이 존재 |
/etc | 설정파일을 관리 디렉토리 |
/home | 별 사용자의 디렉토리를 관리 디렉토리 |
/lib | bin과 sbin 디렉토리에 있는 바이너리 파일들 실행에 필요한 공유 라이브러리 디렉토리 |
/media, /mnt | media와 mnt 모두 파일 시스템이 마운팅되는 디렉토리 |
/opt | 외부 프로그램을 설치 디렉토리 |
/proc | 현재 실행 중인 프로세스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는 디렉토리 |
/usr | 여러 사용자들이 공유하는 파일들을 관리 디렉토리 |
/var | 시스템 로그나 웹 로그 파일 관리 디렉토리 |
/run | 부팅한 후의 시스템 정보를 관리하는 디렉토리 |
/tmp | 임시로 파일을 저장하기 위한 디렉토리 |
'Ops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nux 계정 그룹 추가 (group, docker) (0) | 2022.05.15 |
---|---|
Linux 파일 용량 보기 (ls) (0) | 2022.05.15 |
Linux Crontab 이란? (0) | 2022.05.12 |
Linux 디스크 용량 사용방법 (df, du) (0) | 2022.05.11 |
파일 및 폴더 권한 / 소유자 변경 (chmod, chwon) (0) | 2022.05.11 |